정부가 2026년부터 전국에서 사용 가능한 대중교통 정액패스를 도입합니다. 월 5만~6만원으로 최대 20만원까지 버스·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으며, 청년·어르신·다자녀·저소득층은 추가 할인 혜택을 받습니다. 기존 K-패스와 차이점도 함께 정리합니다.
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, 월 일정 금액을 내면 정해진 한도까지 전국에서 버스·지하철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액패스가 새롭게 도입됩니다.
즉, 교통비를 매달 15만~20만원 이상 쓰는 대중교통 이용자는 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👉 수도권 출퇴근자처럼 장거리 이동이 많은 계층은 GTX·광역버스 패스를 활용하면 월 수십만 원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현재 서울시의 청년 대중교통 할인카드는 서울·경기 일부 구간만 적용됩니다. 반면, 정부 정액패스는 부산, 대전, 광주 등 전국 어디서든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.
현재 국토교통부가 운영 중인 K-패스와도 차이가 있습니다.
K-패스 특징
정액패스 특징
즉, K-패스는 이용 횟수 기반 환급형, 정액패스는 일정액을 내고 정해진 한도까지 무제한형입니다.
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
청년이나 다자녀 가구는 더 저렴한 5만 5천원에 구입할 수 있어, 연간 절감 효과가 200만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.
2026년부터 시행될 대중교통 정액패스는 청년·어르신·다자녀·저소득층을 포함한 국민 다수에게 큰 혜택을 줄 수 있는 정책입니다.
다만, 제도 시행 과정에서 재정 부담, 지자체 협력, 인프라 구축 등 과제도 남아 있습니다.
그럼에도 이번 제도는 국민 교통 복지 확대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라는 큰 의미를 가진 정책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.
9월부터 예외 없다, 단속 대상 운전 습관 5가지 꼭 확인하세요 (0) | 2025.08.30 |
---|---|
슈카월드 소금빵 990원 논란, 한국 빵값이 보여주는 경제적 시사점 (1) | 2025.08.29 |
“삼성그룹 2025 하반기 신입 공채 완벽 정리: 일정·절차·특징 분석” (0) | 2025.08.27 |
“연금계좌로 해외주식 투자” 새 외국납부세액공제, 누가 이익이고 누가 불리한가 (0) | 2025.08.27 |
“AI 버블론, 어디까지가 진실인가: 샘 올트먼 발언·MIT 보고서 심층 분석” (1) | 2025.08.26 |